곧 우리나라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인 설날이 다가옵니다. 설날의 가장 큰 행사는 뭐니 뭐니 해도 제사지요. 자기 뿌리를 기억하기 위한 제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제사상 차리는 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 제사상 차리는 법
명절 제사상 차리는 법은 기본적으로 5열을 차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병풍 앞에 놓이는 것이 제사상인데, 병풍에 가까운 쪽부터 1열이라 명칭하고, 향 바로 앞을 차지하는 열을 5열이라 칭합니다. 각각의 열 마다 놓아야 하는 음식들의 종류와 방향이 정해져 있는데,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제사의 기본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1열 : 반서갱동
밥은 서쪽에 국은 동쪽에 놓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1열에는 밥과 국, 술잔, 신위(위폐), 시접(숟가락, 젓가락)을 놓는데 신위와 시접은 가운데 두고, 술잔은 양 끝에 놓습니다. 그리고 가운데에 밥과 국을 신위의 수대로 준비하는데요. 이때 밥과 국의 방향을 각각 서쪽, 동쪽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고, 국도 덮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숭늉을 준비한 경우 약간의 물에 밥알을 풀도록 하고 있습니다.
2열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으로 놓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에서 2열에는 국수, 육적, 소적, 어적, 떡 등을 놓는데요. 방향을 고려해야 할 만한 음식이 생선의 머리 방향, 닭의 머리 방향이 있습니다. 생선이 동쪽을 향해야 하기 때문에, 생선의 머리도 동쪽을 향하게 즉 꼬리가 서쪽으로 가도록 놓는 것이 맞습니다. (동두서미) 닭의 머리는 안으로 갈무리해서 넣고 닭의 등이 위로 가게 최대한 깔끔하게 놓아야 합니다. (배복방향) 생선과 고기가 포함된 음식의 방향만 적절하게 조율하고 나머지 음식은 양 사이드에 놓으시면 됩니다.
3열 : 육계소어
3열에는 여러 종류의 국을 올리게 되어 있는데요. 국도 2열의 어동육서를 참조하시되 국은 모두 3열에 놓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고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4열 : 좌포우혜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에서 마른 음식들은 왼편에 놓고, 물이 많은 음식은 오른쪽에 놓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음식의 원산지에 따란 산, 들, 집, 바다에서 구한 것을 각각 왼쪽부터 순서대로 놓습니다. (산야가해) 날 것은 동쪽에 두고, 익힌 것은 서쪽에 두어야 합니다. (생동숙서) 4열의 음식들에는 나물이나 김치, 육포가 올라가는데요. 이 음식들의 간을 심심하게 해야 한다는 기준이 있습니다. 김치는 백김치로, 수정과는 식혜로, 육포는 간이 적은 것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5열 : 조율이시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는 의미입니다. 5열에는 대추, 밤, 배, 감, 사과, 강정류가 올라가는데요. 색이 연한 것이 서쪽에 자리 잡도록 하라는 의미입니다.
- 제사상 음식 준비 방법
차례 제사상에 올릴 음식들도 놓는 방법이 정해진 것이 대부분인데요. 제사상 차리는 법으로 참고는 하시되 꼭 이렇게 차릴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런 구문들이 내려온다는 정도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1) 흰 쌀밥은 소복하게 가득 담아야 한다.
- 2) 국은 쇠고기 무국을 준비하고 국간장으로 간하여 탕기에 담아야 한다.
- 3) 육탕(쇠고미와 무), 봉탕(닭), 어탕(북어) 의 삼탕을 준비할 수 있으면 한다.
- 4) 삼적은 육적, 봉적(닭고기), 어적을 말하는데 상에 올릴 때에 제일 아래에 어적, 그위에 육적, 맨 위에 봉적을 놓아야 한다.
- 5) 두부 부침은 소적이라하여 삼적에 포함된 것으로 보며, 따로 그릇에 담는 걸 원칙으로 한다.
- 6) 흰살 생선(대구, 명태)의 경우 얇게 포를 떠 전을 부쳐 올린다.
- 7) 어포는 입과 꼬리를 잘라 올리고, 각 지방에 따라 포가 아니라 오징어나 대구포, 상어를 올리기도 한다.
- 8) 나물의 경우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의 삼색나물을 한 그릇에 담는다.
- 9) 김치는 고추를 넣지 않고 담근 것을 올린다.
- 10) 시루떡을 올릴 때에는 녹두, 깨 등을 사용하되 붉은 팥고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 11) 조과를 올릴 때는 유과, 다식, 정과를 홀수 즉 3,5,6 의 숫자에 맞추어 올린다.
- 제사상의 지역별 차이
제사상 차리는 법의 기본 원칙들이 있지만, 사계절의 변화가 크고 해안가와 내륙지방의 토착 음식이 많이 달랐기 때문에 지역마다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들이 조금씩 달랐습니다. 해안가는 문어나 상어, 홍어 들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국도 해산물이 들어간 국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네요. 결국 부모님이 드시던 음식을 제사상에 올리고 싶은 것이 자식 마음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마음을 담는 것이 중요한 것이겠죠?
추가로 돼지머리를 올린다거나 하는 것은 일반적인 차례상과는 다른 경우입니다. 흔히 고사를 지낸다는 표현을 하듯이 간절하게 무슨 일을 기원하며 제를 올릴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 제사상과 술
차례 제사상 차리는 법을 이야기 하다보면 당연하게 생각되는 것이 술인데요. 사실 차례의 의미는 '차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 것입니다. 술을 올리더라도 차를 빼놓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이지요. 많은 가정집에서 음복이라 하여 술을 다 마셔야 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는데요. 술보다는 차를 통해 조상을 기리는 마음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 같네요. 술은 너무 많이 드시지 마세요!
- 제사의 유래
그렇다면 제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토템 신앙이 활발했던 선사시대부터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는데요. 환웅과 웅녀의 단군신화가 꽃피어날 때부터, 제사는 이어져 왔다고 보고 있답니다. 사람들이 자기 뿌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종족의 당연한 특성인 것 같네요.
이런 제사상 차리는 법이 정형화된 형식으로 자리를 잡게 된 건 조선시대인데요.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제사 문화가 흥행하지 못하다가, 조선시대에 와서 성리학을 근본으로 하는 유기론의 이론이 자리 잡자 지방의 서원부터 일반 양반집들 모두 조상에게 예를 다하는 것이 목숨보다 중요하다는 가치관을 가지게 되었지요. 그래서 집마다 사당을 두고 돌아가신 부모님들과 조상님들을 기리는 문화가 자리 잡게 되었던 것이에요.
인의예지신의 오상지도에서 예가 정말 중요한 이념이었거든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3년 동안 무덤 앞을 지켜야 해서 관직을 내려놓고 고향으로 내려가는 걸 임금도 막지 못했다고 하니 얼마나 예를 중시하는 나라였는지 짐작하시죠? 현대에 와서 가정집마다 지내는 제사는 이런 조선시대의 문화가 이어져서 조상님들을 기리어 후손들을 지켜주시고 복을 나누어 주시길 부탁드리는 의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더불어 제사는 큰 틀에서 3가지 종류로 구분이 가능한데요. 고인이 돌아가신 기일을 기리며 지내는 기제와, 성묘를 하러 가서 지내는 묘제, 가족을 대표하는 사람 집에 모여 다 같이 지내는 차례로 나누어 집니다. 당연히 우리가 집에서 지내는 제사는 차례이고요. 위에서 보셨던 제사상 차리는 법은 차례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예전에는 3가지 제사를 다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살아계신 웃어른의 의견에 따르는 것이 보통이지요.
문명이 현대화되기 전에 자리 잡은 문화라 세대가 지날수록 이해하기 어려워질 제사이지만, 유래를 되뇌어보면 뿌리를 잊지 말고 한자리에 모여 같은 가족이라는 의미를 알게 해주는 행사였다고 보이네요.
- 제사를 대하는 마음가짐
어릴 적 설날이 되면 한복으로 갈아입고, 부모님 손을 잡고 큰집에 가서 제사를 지내던 기억들이 새록새록 한대요. 한문이 가득한 병풍을 세워두고 그 아래로 제기 위에 다양한 음식들과 신위, 시접들을 정렬하고 어른들께서 몇번에 걸쳐 조상님들께 절을 하고 제사가 마무리되었던 것 같습니다. 글을 쓰다 보니 제사가 이런 것이구나 하는 마음과 끝나면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기대감에 어서 제사가 끝나기만을 기다렸던 어린 마음이 계속 떠오릅니다.
저희집은 지금은 제사를 지내지 않습니다. 집안의 제일 어른께서 종교적인 이유로 제사를 그만 지내자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명절에 모이면 여전히 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가족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이니만큼 맛있는 음식을 대접해 주려고 하시기 때문이에요. 사실 제사가 의미가 있다면 가족들이 한번 보여서 돌아가신 웃어른을 떠올려 보자는 의미 하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결국 중요한 건 가족들 간의 유대감을 이어줄 하나의 구심점 아닐까요? 이번 설날에도 같은 뿌리를 가진 가족들을 만나게 되실 텐데요. 제사상 차리는 법은 간단하게 참고 하시고, 서로 간에 덕담 나누시며 즐거운 명절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유익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물처리기 보조금 지원금 받는 방법 시행 지자체 유의사항 총 정리 (0) | 2023.02.09 |
---|---|
경칩은 언제일까요? 의미와 풍속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0) | 2023.02.02 |
2023 경록절 마포르네상스 출연진 온라인 기본정보 예매 (0) | 2023.01.31 |
CNN Travel 이 선정한 10대 미국 관광지 여행 투어 (0) | 2023.01.30 |
2023 설 특선영화 편성표 (0) | 2023.01.18 |
댓글